‘거칠고 악한 남자’ 역 위하준 진지한 인터뷰

“누아르 연기 로망…그 씁쓸한 느낌 새롭더라”

인터넷뉴스팀 | 기사입력 2023/11/10 [14:18]

‘거칠고 악한 남자’ 역 위하준 진지한 인터뷰

“누아르 연기 로망…그 씁쓸한 느낌 새롭더라”

인터넷뉴스팀 | 입력 : 2023/11/10 [14:18]

무자비한 조직의 보스 정기철 역…진한 눈빛으로 냉혈한 캐릭터 소화

“멜로물에선 멜로 장인 되고 악역 맡으면 악랄한 배우로 기억되고 싶다”

 

▲ 디즈니 플러스 오리지널 ‘최악의 악’에서 비정한 조직의 보스로 변신한 배우 위하준.  

 

디즈니 플러스 오리지널 드라마 <최악의 악>에서 배우 위하준(32)은 굳이 힘을 주지 않는다. 누아르 장르, 조직의 보스라는 무게감에 짓눌리는 모습도 아니다. 거친 남자들의 세계에서는 진한 눈빛으로, 첫사랑 앞에서는 순정 가득한 눈빛을 오가면서 자연스럽게 묵직해진다. 이것저것 살을 붙이기보다 캐릭터 알맹이에 집중한 결과다.

 

쉬운 작업은 아니었다. 1990년대 강남 연합조직의 보스가 되면서 한·중·일 마약 거래의 중심이 된 기철의 흥망성쇠를 모두 표현해야 했다. 조직을 일망타진하기 위해 잠입 수사를 하는 경찰 준모(지창욱 분)와 긴장감도 계속 가져가야 했다. 현장에선 막내였지만 지창욱과 투톱 주연으로 작품을 이끌어야 하는 것도 부담이었다. 

 

“중압감을 줘야 하는 게 쉽지 않았다. 생각했던 것보다 더 어렵더라. 기철이 복잡 미묘한 감정을 지닌 인물이어서 더 쉽지 않았다.”

 

조폭과 경찰, 그리고 언더커버. 기시감이 드는 소재인 건 맞다. 위하준도 처음에는 뻔한 이야기처럼 보일까 봐 고민했다. 하지만 감정에 집중하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어릴 때부터 누아르에 대한 로망이 있었다. 그런데 젊은 배우들이 이끈 누아르 작품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만의 다른 색깔이 나올 수 있지 않을까 싶어 도전했다. 조금 더 충동적이라고 해야 할까. 이들끼리 살인이나 악행을 저지르는 걸 애들 장난처럼 하는데 엄청 나쁜 일 아닌가. 최악의 상황으로 가면서 그 인물들이 놓인 감정의 변화가 보이고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각도 하게 되고. 씁쓸한 느낌이 새로웠다.”

 

기철은 악인이다. 조직원들에게만 존경받는 보스일 뿐, 마약 카르텔의 중심이고 사람 목숨 앞에서도 무자비하다. 하지만 그에게도 일찍 가장이 되면서 닥치는 대로 돈을 벌어야 했던 사정, 그 과정에서 죽은 절친 태호(정재광 분)에 대한 죄책감 등의 서사가 붙는다. 

 

“갈수록 불쌍한 부분이 있다. 상처를 극복하고자 한 게 왜 이거였을까 안타까웠다. 하지만 악행을 묵인하고 지시한다는 것 자체가 누구보다도 악인이라고 생각한다. 정당화되는 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약에 대한 경각심도 필요하다. 처벌이 너무 약하다. 나는 기철을 인간으로서 이해하고 연기해야 하기 때문에 공감하려고 한 게 있지만, 그가 벌인 일에 대한 건 심판 받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시청자들도 기철을 악인으로 봤으면 한다.”

 

“연기로는 사람 정기철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고 했다. 보스로서의 카리스마를 보여주기 위해 거칠고 불같이 하기보다는 냉혈한인 것처럼 연기했다. 무슨 생각을 하는지 모르게끔 표현하는 게 그 인물에 무게감을 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 인간적인 모습이 보일 때는 첫사랑 의정(임세미 분)이 생각하는 순수하고 솔직한 사람으로 연기하려고 했다.”

 

여러 감정이 오가는 기철 역할을 소화하기 위해 외적인 설정도 철저했다. 준비할 시간이 부족했지만 보스의 중압감을 위해 몸무게를 5kg 늘렸다가, 피폐해지는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다시 9kg을 줄였다. 피부 톤도 훨씬 어둡게 표현하고 주근깨 분장도 했다. 날카로운 인상을 위해 눈썹 모양까지 신경 썼다.

 

액션 연기는 비교적 수월했다. 대신 액션에 처절한 감정이 폭발하는 것을 녹여내기 위해 힘썼다. 

 

“나는 시골에서 자랐다. 전라남도 완도에서 자라 흔한 태권도 도장도 없었다. 산에서 뛰고 타이어 밟고 공중에서 돌면서 놀았다. 친구들과 때리는 척하며 장난을 친 적이 있는데 액션 연기가 그렇더라. 이렇게까지 도움이 될 줄은 몰랐다. 수련하면서 액션 연기가 더 늘었고.”

 

위하준에게 자신감을 더 불어넣은 건 현장 곳곳에 있는 사람들이다. 작품의 분위기는 시종일관 어둡지만 현장 분위기는 밝은 에너지로 가득 찼다. 누아르의 진수를 보여준 영화 <범죄와의 전쟁: 나쁜 놈들 전성시대> <신세계> 등의 조감독을 지낸 한동욱 감독이 중심에 있었다. <신세계> 제작진이었던 스태프도 한몫했다.

 

상대역을 맡은 배우 지창욱은 선배로서 형으로서 큰 도움을 줬다. 위하준은 지장욱에 대해 “기가 막혔다”고 감탄했다. 

 

“형은 굉장히 긍정적이다. 무엇보다 액션을 싫어하는데도 항상 웃고 장난을 쳤다. 나를 귀여워하는 형은 처음이었다. 내가 현장에서 늘 진지하고 생각에 빠져 있고 그런 편이었는데 형이 현장에서 사람들에게 주는 에너지를 보고 바뀌었다. 형은 ‘뭐 별거 있어? 그냥 해. 할 수 있어. 하면 되지’라고 했다. 그 안에서 연기 열정을 나눴고, 사람으로서 마인드를 배웠다. 이젠 내가 친구들에게 무슨 일이 있으면 겁먹지 말라고 한다.”

 

위하준은 <최악의 악>을 두고 “가장 나답게 임한 작품”이라고 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오징어 게임>(2021) 이후 탄력을 받아 tvN 드라마 <배드 앤 크레이지>(2021), <작은 아씨들>(2022) 등 히트작을 남겼지만 스스로 채찍질만 했다고 털어놨다. 

 

“보물 같은 시간이었다. 항상 촬영하면 압박감부터 들고 잘해야겠다는 강박과 스트레스가 컸다. 좋은 사람들의 옆에서 영향을 받다 보니까 내려놓는 방법을 알게 됐다. 앞으로 배우로서 활동할 수 있는 큰 좋은 영향과 에너지를 준 작품이라 잊지 못할 것 같다.”

 

“다양한 색깔을 보여주고 싶다”는 그는 차기작으로 멜로 드라마를 선택했다. 드라마 <밥 잘 사주는 예쁜 누나>로 인연을 맺은 안판석 감독의 신작 <졸업>에서 배우 정려원과 로맨스 연기를 펼친다. <최악의 악>에서 임세미와의 키스신이 데뷔 후 처음일 정도로 멜로물 출연이 적었다. 

 

“지금 제대로 된 사랑 이야기를 찍고 있다. 팬들도 멜로를 너무 원했다. 제대로 된 멜로를 할 때가 됐다 싶었는데 재밌게 찍고 있다. 그동안은 캐릭터가 정제돼 있어서 표현하는 데도 제약이 많았는데, 이번엔 현실 멜로여서 이렇게도 저렇게도 하면서 일상 연기를 펼치고 있다.”

 

“멜로를 하면 멜로 장인이 되고, 악역을 하면 악랄하게 하고 싶다. 액션도 정말 잘하는 배우였으면 좋겠고. 일단 인간적인 배우가 되고 싶다. ‘실제로 보면 따뜻한 에너지가 있구나’라고 느낄 수 있는 배우로 기억되고 싶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11월 넷째주 주간현대 1237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