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북미 전동화 투자금 9.4억 달러 조달

송경 기자 | 기사입력 2023/11/10 [15:11]

현대모비스, 북미 전동화 투자금 9.4억 달러 조달

송경 기자 | 입력 : 2023/11/10 [15:11]

해외 첫 그린론…외국 금융기관 7곳으로부터 자금 확보 전동화 사업 탄력

자금은 BSA 및 PE 시스템 신공장 설립 활용…전기차 시장 확대 선제 대응

 

▲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이 올해 1월 CES 2023에서 ‘뉴 모비스’ 비전을 발표하는 모습.  

 

현대모비스가 북미 지역에 건설 예정인 전동화 생산기지를 위한 자금 확보에 성공했다. 이번 자금은 현대모비스가 해외에서 처음으로 ‘그린론(Green Loan)‘을 통해 조달했다. 이에 따라 현대모비스는 미래 모빌리티 핵심 분야인 전동화 사업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현대모비스는 최근 해외 금융기관 7곳을 대상으로 북미 전동화 신규 거점 구축을 위한 투자 자금 9억4000만 달러를 확보했다고 11월 8일 밝혔다. 

 

현대모비스 측은 “주요국의 통화 긴축 기조와 시장 금리 상승 등 여의치 않은 상황에도 글로벌 전동화 시장 성장 가능성에 대한 높은 평가로 저금리, 장기 차입(만기 10년)에 성공한 것”이라며 “여기에 공적 수출신용기관인 한국무역보험공사의 신용 보증이 더해져 원활한 자금 조달이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자금 조달은 현대모비스의 해외 첫 그린론(Green Loan)으로 주목받았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2021년 국내에서 친환경 프로젝트 추진을 위해 녹색 채권을 발행한 바 있지만 해외에서 친환경 사업 투자를 위해 그린론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린론은 전기차나 신재생에너지 등 친환경 사업 용도로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ESG를 강화하는 추세에서 그린론으로 자금을 조달하면 유리한 금리 조건이 가능하고, 친환경 기업 이미지가 부각될 수 있다.

 

앞서 현대모비스는 지난해 10월, 북미 전동화 신규 생산 거점 구축을 위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총 13억 달러를 투자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앨라바마와 조지아 등 4곳에 배터리시스템(BSA)과 PE시스템 신규 공장을 지어 글로벌 전동화 시장 확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이번 투자 자금 조달로 북미 지역 전동화 사업이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전 세계 9곳(국내 6곳, 해외 3곳)에서 전동화 생산 거점을 운영 중이며, 국내와 북미, 인도네시아 등에서 6곳의 전동화 생산 거점을 새로 구축 중이다. 현대모비스는 미래 모빌리티 기술 전문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전동화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관련 분야 중장기 성장 동력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11월 넷째주 주간현대 1237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