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포털 카카오다음이 뉴스검색 결과의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뉴스제휴 언론사(CP)’로 변경하면서 '언론 갈라치기' '중소 언론사 옥죄기'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포털 다음이 검색 시 콘텐츠 제휴(Content Partner, CP사) 언론사 기사를 우선적으로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한다.
다음은 지난 5월 ‘다음뉴스 보기’ 탭을 누르면 콘텐츠 제휴 언론사 기사만을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했는데, 6개월 만에 검색 기본값으로 콘텐츠 제휴 언론사 기사를 보여주기로 결정한 것. 대신 전체 언론사를 볼 수 있는 ‘전체’ 옵션 탭을 추가하기로 했다.
다음은 4월 22일 오후 '뉴스검색 설정 기능을 새롭게 제공한다' 제목의 공지에서 “이용자의 선호도를 충분히 고려하고 양질의 뉴스 소비 환경 마련을 위해 뉴스검색 설정 기능을 개선한다”고 밝혔다.
사실 지난 여름부터 정부가 포털에 CP만 노출하도록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말이 나오기 시작했고, 네이버의 경우 4월 총선 직전인 내년 3월부터 'CP만 검색 기사 노출' 실시한다는 풍문이 떠돌고 있다. 이와 관련, 언론계에서는 "다음이 선제적으로 'CP만 검색 기사 노출'에 들어간 이유는 네이버 실시 전 미리 테스트를 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야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진보당이 이 같은 카카오다음의 검색 재편 조치에 대해 “중소 언론 옥죄기”라면서 “당장 철회하라”고 비판하고 있는 것.
한민수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11월 23일 오후 포털 다음이 뉴스 검색 결과의 기본값을 전체 언론사에서 사로 변경한 것과 관련해 서면 브리핑을 내어 “다음은 언론의 국민과의 소통을 통제하려는 윤석열 정부에 휘둘리고 있느냐?”고 힐난했다.
다음은 지난 5월 ‘다음뉴스 보기’ 탭을 누르면 전체 언론사와 CP사를 구분해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을 도입하더니, 6개월 만인 11월 22일 사용자 모르게 검색 기본값을 ‘뉴스제휴’ 언론사로 변경해 논란을 불렀다.
한 대변인은 이에 대해 “다음은 ‘이용자의 선택권 강화’라고 하지만 뉴스제휴를 하지 않은 언론사를 배제한 것은 선택권 강화로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보통 서비스 개편을 하면 테스트 기간이나 공지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 정상인데, 다음은 기본 절차도 생략하고 사용자도 모르게 기본값을 변경했다”고 지적하면서 “설정 변경을 통해 전체 언론사로 조정 가능하다지만 과연 이를 알고 실행하는 이용자가 얼마나 될지 의문이고, 선택권 차단 또는 선택권 통제가 아닌지 우려스럽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와 이동관 방통위원회는 가짜뉴스에 대한 자율규제를 압박해 왔다”고 짚으면서 “다음이 창업자에 대한 수사에 압박을 느끼고, 정부의 의향에 맞춰 바꾼 것이냐?”고 따졌다.
아울러 그는 “다음이 떳떳하다면 왜 테스트 기간이나 충분한 공지를 통해서 이용자에게 알리지 않았는지 답하라”고 압박하면서 “다음이 언론의 국민과의 소통을 막고 통제하려는 윤석열 정부와 이동관 방통위에 휘둘리는 것이라면, 국민의 질타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진보당 역시 다음의 검색 재편 조치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나섰다.
박태훈 부대변인은 11월 24일 브리핑을 통해 “중소 언론사의 뉴스 검색•노출을 감소시켜 건강한 언론 생태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짚으면서 “대형 포털이 권한을 남용해 언론지형을 뒤흔드는 선례를 남기는 것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박 대변인은 이어 “네이버 역시 다음과 마찬가지로 지난 8월 29일 전체언론 검색과 CP언론 검색 기능을 분리했는데 같은 수순으로 중소 언론 죽이는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 우려된다”고 짚으면서 “윤석열 정권과 방통위가 다음과 네이버를 가짜뉴스 유통 창구라고 매도하고 포털 옥죄기를 지속해온 것과 이번 조치는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고 날을 세웠다.
끝으로 그는 “언론의 입을 막아선 안 된다는 건 민주주의의 상식”이라면서 “진보당은 카카오다음의 뉴스 검색 재편 조치에 반대하며, 지금 당장 철회하라”고 촉구했다.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