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랜드, 임금체불의 온상…이정미 “정규직‧계약직에도 열정페이”

이랜드, 대한민국 최악의 블랙기업 낙인

한동인 기자 | 기사입력 2017/01/05 [10:35]

이랜드, 임금체불의 온상…이정미 “정규직‧계약직에도 열정페이”

이랜드, 대한민국 최악의 블랙기업 낙인

한동인 기자 | 입력 : 2017/01/05 [10:35]
▲ 이정미 의원이 이랜드의 임금체불의 실태를 다시 한번 파헤쳤다. ©이정미 의원실

 

[주간현대=한동인 기자] 아르바이트 임금체불 사실이 드러나면서 진통을 겪은 바 있는 이랜드 애슐리 등 외식업체가 계약직과 정규직 사원들에게도 열정페이를 강요한 사실이 확인됐다.

 

애슐리 임금체불 사실을 밝혀내 바 있는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이랜드가 정규 사원을 하루 16시간 일 시키고도, 한달 연장근로는 20시간으로 계약. 계약직의 경우 15~16시간 일시키고 근무시간은 8시간으로 수정했다”고 전했다.

 

▲ 이랜드 근로계약서.     © 이정미 의원실

 

이정미 의원실이 입수한 이랜드 파크의 근로계약서를 보면, 정규직 직원과 월 소정근로시간 209시간과 연장근로시간 월 20시간에 해당하는 임금을 지급하는 포괄임금 형태의 근로계약을 맺는다.

 

하지만 이정미 의원실과 정의당 노동부가 이랜드에서 퇴사한 정규직 직원들의 제보를 복수로 확인한 결과, 이랜드파크는 이들 정규직 신입사원(헤드트레이너)들에게 월간 평균 300시간 이상, 때로는 400시간 가까운 근무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월 20시간을 넘어서는 연장근로에 대해서는 전혀 수당을 지급하지 않았으며, 계약직 관리직원인 트레이너에 대해서도 연장근로수당을 아예 지급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보면 애슐리 모 매장에 근무하였던 정규직(헤드트레이너) 사원인 A씨의 경우, 이랜드의 사원관리프로그램 ‘F1 시스템’상에는 2014년 8월 12일 16.5시간 16일 16.5시간을 근무해, 단 이틀간 총 18시간의 연장근무를 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별도의 수당을 지급받지 못했다.

 

다른 매장에서 근무한 월급제 계약직 직원 B씨의 경우는 더 심각했다. 2013년 10월 7일 15.5시간, 2014년 1월 15일 16시간을 근무했음에도 아예 공식 근로시간이 각각 8시간으로 수정되어 기록됐다. 마찬가지로 단 이틀간 15.5시간이 체불된 셈이다.  

 

이와 관련, 정의당 비정규노동상담창구(비상구)에서 활동 중인 이훈 공인노무사는 이랜드파크 외식사업부 관리직(정규직+계약직)사원의 연장근로수당 체불액이 최대 9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추산했다.

 

정의당 측에 체불임금정산을 문의한 퇴직자들의 1인당 월평균 연장근로시간은 104시간에 이르렀고, 지난 2년간 1인당 평균 체불액은 2000만원(1년 1000만원)이었다. 이를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공시에 따라 이랜드 외식사업부의 무기계약직 풀타임 근로자 1763명에게는 임금채권 소멸시효 3년, 기간제 풀타임 근로자 1995명에게는 기간제 계약기간 최대 2년을 단순 대입하면, 최대 927억원에 이른다는 계산이다.  

 

한편 5일 이정미 의원실이 추가로 확인한 결과, 이랜드 측은 현재 근로계약서 및 근무기록을 달라는 퇴직자들의 요청에 “회사의 정책상 확인에 제한이 있어 제공이 어려운 점이 있다”며 제출을 거부하고 있다.

 

이랜드의 임금체불 외의 부당행위도 있다. 우선 식자재나 각종 물품 비용을 주방과 홀의 관리직 직원들에게 떠넘기는 일이 빈번했다. 통상 3~5일전에 매장에서 쓸 식자재를 발주하는데, 매장 상황에 따라 식자재가 모자라면 인근 매장에서 퀵이나 용달을 통해 빌려오거나, 인근에 매장이 없으면 직접 사와야 했다.

 

그 비용 일체는 사원들이 충당했다. 직원들이 사비로 충당한 물품은 주방에서 쓰는 식자재만이 아니라 홀에서 사용하는 냅킨까지 있었다. 애슐리에서 아르바이트부터 시작해 정규직 사원까지 만 3년 7개월을 근무한 제보자 C씨의 경우, 주방매니저로 일하면서 한달 급여 140만원 중 100만원을 식자재 수급에 쓴 적도 있다고 밝혔다.

 

퇴직자들은 ‘최근에는 퀵서비스 비용에 대해서는 매장 차원에서 보전을 해주기도 한다’고 밝혔는데, 이는 직원들이 각종 자재를 자비로 처리하고 있다는 것을 이랜드도 인지하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뿐만 아니라 이랜드 측은 직원들에게 불과 며칠 전에 다른 광역시도에 위치한 매장에서 근무할 것을 통보했고, 사원들은 지시에 따라 사택으로 이주해야만 했다. 이주한 10평 남짓의 사택에서는 그나마 상급자를 포함해 다른 직원 3-4명이 함께 생활해야 했고, 이 사택은 직원 각자가 출근하는 매장과의 거리가 차량으로 1시간 정도 되는 곳에 위치하여, 결국 사원들은 자비를 들여 숙소를 얻는 경우도 있었다.

 

주방에서 화상 등 산재를 당해도 제대로된 산재신고 없이 매장과 직원이 일부를 각각 부담해 치료비용을 처리하는 일 역시 일어났다. 이로 인해 이 사건을 제보한 C씨는 아르바이트부터 시작한 지난 4년간의 이랜드파크 재직 경험을 “노예생활”이라고 토로했다.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위와 같은 내용을 기자회견을 통해 전했다. 이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이랜드에 대해 “(이랜드는) 대한민국 최악의 블랙기업”이라면서 “아르바이트에 이어 젊은 사원들의 열정페이를 가로 챈 이랜드는 기업행위를 계속해서는 안된다”고 강력 비판했다.

 

이어 그는 “통상적인 근로감독과 시정지시로 해결될 문제가 아닌만큼 이랜드를 직접 검찰에 고발할 것”이라고 예고했다. 또한 “현재 이랜드가 근로계약서와 근무기록 제출을 거부하는 등 체불임금에 대한 증거인멸을 시도 중이므로 이랜드파크 본사를 압수수색해 전체 직원의 근무기록인 담긴 F1 시스템의 내용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bbhan@hyundaenews.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