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평화당, 광화문에서 ‘문재인 정부 규탄 및 선거제도 개혁 촉구’

우리나라 청년들, 정치권 진출, 주거·일자리 문제 해결하기 위해선 선거제도 바꿔야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기사입력 2018/12/09 [20:51]

민주평화당, 광화문에서 ‘문재인 정부 규탄 및 선거제도 개혁 촉구’

우리나라 청년들, 정치권 진출, 주거·일자리 문제 해결하기 위해선 선거제도 바꿔야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 입력 : 2018/12/09 [20:51]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비롯한 선거제도 개혁에 소극적인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을 비판하며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3당이 단식과 천막 농성에 들어간 가운데 9일 오후, 민주평화당은 교수 등 지식인, 시민사회와 함께 광화문 광장에서 문재인 정부를 규탄하고 선거제도 개혁을 촉구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정동영 대표는 “연동형 비례제는 바로 약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약자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이다.”며, “국민이 투표한 민심 그대로의 소중한 한 표가 정치에 반영되어 내 삶이 바뀌는 선거제도 개혁이다”고 설명했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청년들, 전체 유권자의 1/3이상인데 청년 국회의원은 300명 중 2명밖에 없어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는 “이 나라의 민주주의는 청년의 희생 위에 건설되었는데 청년들은 전체 유권자의 1/3이 넘는데 청년 국회의원은 300명 중 2명밖에 없다”면서, “지하실·옥탑방·고시원을 전전하며 주거난민으로 전락하고, 알바·비정규직 말고는 일자리가 없는 청년세대의 고통과 좌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직접 자신들의 정치적 대리인을 뽑을 수 있도록 선거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며 영하의 날씨를 뜨겁게 달궜다.

 

정 대표는 “연동형 비례제는 바로 약자의 권리를 찾아주는 약자를 위한 선거제도 개혁이다.”며, “국민이 투표한 민심 그대로의 소중한 한 표가 정치에 반영되어 내 삶이 바뀌는 선거제도 개혁이다”고 설명했다.

 

그는 “결코, 민주평화당, 바른미래당, 정의당의 당리가 아니라 문재인 정부가 부르짖는 포용국가의 비전, 오천만 국민이 원하는 우리의 미래, 사회적, 경제적 약자도, 모든 국민이 함께 행복할 수 있는 대한민국, 지금과는 다른 대한민국, 우리는 다른 대한민국을 꿈꿀 자격이 있고, 그럴 능력이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천정배 의원은 "더불어민주당이 자유한국당과 손을 잡고 예산안을 처리했을 당시 민주당 개혁 성향 국회의원들의 곤혹스러운 표정을 봤다"며, "개혁세력을 외면하고 자유한국당과 손을 잡은 민주당 지도부를 심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성엽, “민주당 ‘예산안 처리 위해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은 뻔뻔한 거짓말”

 

유성엽 최고위원은 "엊그제 더불어민주당이 야합 날치기 새해 예산안을 처리하고 나서 '예산안을 처리하기 위해서 어쩔 수 없었다'는 뻔뻔한 거짓말을 하고 있다"면서, "민주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요구하는 야3당 등 개혁세력과 함께해도 182석으로 예산안, 선거법과 유치원 3법 등 개혁법안을 처리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최경환, “文 대통령, 연동형 비례대표제 개혁 무산과 정치개혁 후퇴에 대한 입장 밝혀야”

 

최경환 최고위원은 "새해 예산안 날치기 처리 이후 '더불어한국당'이라는 유행어가 생겼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연동형 비례대표제 개혁 무산과 정치개혁 후퇴에 대해서 침묵을 중단하고 자신의 신념과 뜻을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정 대표는 “이 나라의 민주주의는 청년의 희생 위에 건설되었는데 청년들은 전체 유권자의 1/3이 넘는데 청년 국회의원은 300명 중 2명밖에 없다”면서, “지하실·옥탑방·고시원을 전전하며 주거난민으로 전락하고, 알바·비정규직 말고는 일자리가 없는 청년세대의 고통과 좌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들이 직접 자신들의 정치적 대리인을 뽑을 수 있도록 선거제도를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며 영하의 날씨를 뜨겁게 달궜다.     © 김충열 정치전문기자

 

한편, 이날 행사에는 지난 6일 “우리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야3당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한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는 긴급 선언을 발표한 교수· 학자 등 지식인과 촛불시민혁명의 완성과 선거제도 개혁을 위해 목소리를 내온 시민사회 관계자 200여명이 함께했다.

 

hpf21@naver.com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