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7.5명 “극단적 선택”…정녕 대책은 없는가?

인터넷뉴스팀 | 기사입력 2019/09/27 [11:36]

하루 37.5명 “극단적 선택”…정녕 대책은 없는가?

인터넷뉴스팀 | 입력 : 2019/09/27 [11:36]

2018년 1만3670명 스스로 목숨 끊어…전년보다 9.7% 급증
인구 10만 명당 24.7명 수준…OECD 평균 11.5명의 2배 넘어

 

▲ 최근 보건복지부 발표에 따르면 통계청의 2018년 사망원인통계상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3670명으로 2017년보다 1207명(9.7%) 증가했다고 한다. <뉴시스>    

 

지난해 극단적인 선택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인구 10만 명당 26.6명으로 1년 새 9.5% 증가한 원인으로 보건당국은 유명인 모방 효과와 이런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다’는 허용적 태도 증가를 지목했다.


9월24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통계청의 2018년 사망원인통계 상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3670명으로 2017년보다 1207명(9.7%) 증가했다.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도 26.6명으로 전년(24.3명)보다 9.5%(2.3명) 늘었다. 하루 평균 37.5명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연령 표준화 자살률을 보면 우리나라는 지난해 24.7명 수준인데 이는 가장 높은 수치다. 두 번째로 높은 리투아니아(24.4)명보다 많고 OECD 평균(11.5명)의 두 배가 넘는다.


연령대별로 보면 자살률은 80세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연령층에서 증가했으며 특히 10대(22.1%), 40대(13.1%), 30대(12.2%)에서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자살률은 남성이 38.5명으로 여성(14.8명)보다 2.6배 많았다. 남성은 10.4%, 여성은 7.4%씩 증가한 수치다.


월별로 보면 3월(35.9%), 1월(22.2%), 7월(16.2%) 등에 2017년보다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자살률이 증가한 것과 관련해 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 중앙심리부검센터 등은 “다양한 제도적, 사회적, 개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면서도 크게 ▲유명인 죽음에 따른 모방 효과 ▲자살에 대한 허용적 태도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했다.


우선 2017년 12월부터 지난해엔 잇따라 유명인 사망사건이 발생한 바 있다.


전홍진 중앙심리부검센터장은 “분석 결과 젊은 층이 많이 (모방)하긴 하지만 유명인과 같은 연령대 분들이 동일시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며 “지난해는 예년과 다르게 1월과 3월에 자살 사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당시 유명인 죽음과 연관성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실제 2015년 국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유명인 죽음 전후 1개월을 비교한 결과, 모방 효과는 하루 평균 6.7명으로 나타났다. 유명인 특성에 따라 하루 평균 최대 29.7명까지 늘어나기도 했다. 유명인 죽음 이후 2개월간 평균 606.5명 증가했다는 2013년 중앙자살예방센터 분석 결과도 있다.


복지부는 “유명인 자살사건 시기와 자살사망자수 증가 시기가 유사해 모방자살 효과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정확한 분석은 향후 추가 자료를 확보하여 검토가 필요하다”고 했다.


허용적 태도 증가도 증가 요인 중 하나로 꼽혔다.


지난해 자살 실태조사를 보면 2013년과 비교해 ‘자살을 받아들여야 할 상황이 있을 수 있다’(2.43점→2.61점), ‘고통받는 상황에서 자신이나 타인의 자살을 용인’(2.96점→3.02점)하는 태도 등이 증가했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허용적 태도가 느는 것은 사망자를 죄인으로 보는 시각, 약한 사람이나 책임을 지지 않는 나쁜 사람이란 시각이 줄어 좋아했던 사람이 자살했을 때 ‘얼마나 힘들었으면’ 하는 관대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선 긍정적”이라면서도 “‘자살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자살을 말리고 예방하는 것엔 부정적”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학교나 청소년을 중심으로 자해가 급증했던 점과 관련해선 백 센터장은 “‘비자살성 자해’라고 해서 스트레스 등 여러 가지 표현 수단 중 하나로 보는 관점에서 직접 자살과 연관을 짓지는 않는다”면서도 “지난해 1~2월 증가가 드러난 바 있고 정신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자살률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도 있기 때문에 청소년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이 필요한 사건”이라고 말했다.


다만 실업 등 경제적 문제와 관련해선 이번 사망원인통계에 건강보험 등 소득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추가되지 않아 현재로선 단언하기 어렵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장영진 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경찰청 변사사건 조사 등에서의 원인을 보면 정신건강, 경제적 문제, 신체 문제 등을 1~3위 동기로 제시하고 있다”며 “생애 스트레스 사건이 3.9개 영향을 미쳤을 때 죽음으로 귀결된다는 (심리부검) 보고서도 있는 만큼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조만간 통계청으로부터 마이크로 데이터 등을 확보해 증가 시기, 수단 등 유사성을 추가분석할 예정이다.

지난해를 기점으로 향후 증가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서도 조심스러운 입장을 표했다.


복지부는 “지난해 자살 사망자수는 증가했으나 올해 7월까지는 지난해 대비 약 8% 내외(약 600명대 내외)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올해 3~5월 고위험군 선별(스크리닝) 등 적극적 예방 노력과 함께 지난해 이후 추진되고 있는 자살예방 국가행동계획이 정책적 효과를 나타내기 시작할 것”이라고 다소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정부는 내년 1월 통계청 국가 자살동향 시스템이 구축되는 대로 올해 자살 사망자수 잠정통계가 공개되면 정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봤다. <뉴시스>


 

☞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