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고 새로 쓰는 古今疏通-병권귀일

지휘관 통일돼야 싸움에서 승리 거둘 수 있다

글/이정랑(고전연구가) | 기사입력 2019/12/06 [10:49]

다시 읽고 새로 쓰는 古今疏通-병권귀일

지휘관 통일돼야 싸움에서 승리 거둘 수 있다

글/이정랑(고전연구가) | 입력 : 2019/12/06 [10:49]

통일된 정책 하나가 끊이지 않는 ‘고견’ 10개보다 값진 법

 

▲ 혼란의 전국시대, 최고의 전술가 귀곡 선생이 쓴 신비의 병서가 제자 손빈에게 전해졌다는 소문이 돌자 위나라와 제나라는 전쟁을 제패하기 위해 은거 중인 손빈을 회유하려 한다. 사진은 영화 ‘전국: 천하영웅의 시대’ 한 장면.    

 

병권귀일(兵權貴一). 병권을 하나로 귀속시킨다.


명대의 <병경오자십삼편(兵鏡吳子十三篇)> 권 9 ‘계전(計戰)·下’에 보면, 전투에서의 계략과 기밀의 중요성 등을 말하면서 “병권이 하나로 통일되어야 한다”는 ‘병권귀일’을 강조하고 있다.


일찍이 손자는 장수가 외지, 즉 전쟁터에 나가면 군주의 명령을 받지 않는다는 사상을 제기한 바 있는데, 군주가 군사에 대해 잘 모르면서 사사건건 개입하게 되면 장수가 임기응변을 못하게 됨은 물론 자기 군대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함으로써 전기를 놓치고 실패하게 된다는 것을 지적한 것이었다.


737년, 반란군의 수령 안경서(安慶緖)는 잔병 약 7만을 수습하여 업성 일대를 거점으로 당나라 군대에 저항하고 있었다. 이듬해 10월, 당나라 조정에서는 곽자의(郭子儀) 등 7명의 절도사와 병마사 동진(董秦) 등을 파견하여 기·보병 20만 명을 거느리고 안경서를 정벌케 했다. 그리고 이광필(李光弼) 등 두 명의 절도사로 하여금 돕게 하니 그 위세가 장관이었다.

 

그러나 숙종(肅宗) 이형(李亨)은 어찌 된 일인지 총사령관을 임명하지 않고 환관 어조은(漁朝恩)을 시켜 군대를 감시하게 했다.


어조은은 군대의 일을 알지도 못하는 인물로 군의 총지휘를 근본적으로 감당할 수 없는 자였다. 어조은이 정당한 건의 사항을 무시하고 그 때문에 시기를 놓쳐 통일된 작전을 구사하지 못하는 바람에, 이미 곤경에 처해 있던 안경서의 잔병들이 한숨을 돌리고 결사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틈을 주고 말았다.

 

20만 당군의 명령 계통이 하나로 통일되지 못한 탓에 병사들은 피곤함을 견디지 못했다. 반란군 사사명이 바로 그 틈을 타 공격을 가하니 당군은 단 한 번의 싸움으로 대패했다.


현대의 관리학은 계통 구조의 질서 여부가 정책을 결정하는 지도자의 통치술과 권위에 완전히 좌우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다소 문제가 있더라도 통일된 정책 하나가 논쟁이 끊이지 않는 10개의 ‘고견(高見)’들 보다 훨씬 값지다.

 

따라서 군사 지휘관은 정책 결정과 지휘라는 가장 높은 자리에서 적극적으로 자신에게 주어진 직권을 행사하여 군대 행동의 신속함과 협조를 확보해야 한다.


1943년이 저물어 가던 때, 크리미아 전투를 앞둔 소련군 최고 사령부에서는 보로시로프(1881~1969)와 쉬테멘코(1907~1976)를 크리미야 지구로 보내 흑해 함대, 아조브해 함대, 연해군과 일부 포병 및 공군을 소집해서 구체적인 공격계획과 협동체계를 논의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스탈린에게 보고하기에 앞서 보로시로프는 회의에 참석한 대표 모두의 서명으로 보고하자는 의견을 관철시켰다. 보고서를 받아든 스탈린은 다음과 같이 비판했다.


“한 사람의 우두머리가 자신의 정책결정에 대해 책임을 지려 하지 않는다는 것은 자기 의견에 자신감이 없음을 반증한다. 이러한 행동은 농장의 집단 투표와 같은 것이지,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에 기초를 둔 정책결정이 아니다.”


현대적 장비의 발전과 전쟁 상황의 다변성은 군대의 작전 지휘에 대해 더욱 집중적이고 통일된 계통을 요구한다. 따라서 집중·통일된 유효적절한 정책결정은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것이다.


‘병권귀일’은 전체적인 독단이나 외고집을 의미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고대 군사 전문가들도 지휘의 통일성을 중시했을 뿐 아니라, 식견 있는 참모들과 부하들의 의견과 지혜를 두루 청취하고 수렴하는 일에도 주의를 기울였다. 이렇게 지휘관이 집중·통일 되어야 결정된 정책이 전쟁의 실제에 부합하고, 싸움에서 승리를 거둘 수 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다섯째주 주간현대 1245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