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26일 오전 강원도 고성군 소노캄 델피노 리조트 & 호텔 지하 2층 대연회장에서 열린 2021 DMZ 평화경제 국제포럼 개막식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뉴시스
|
이인영 통일부 장관이 비무장지대(DMZ) 평화 공간 확대를 역설하면서 "평화를 위한 세계의 친구들이 한국을 방문해 한반도 평화를 향한 DMZ 평화의 길을 함께 걸어주실 것을 정중히 요청 드린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11월26일 열린 'DMZ 평화경제 국제포럼'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하면서 "비무장지대(DMZ)부터 남북 관계 뉴노멀을 정립해 나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ㅇ어 "한반도 평화가 확고히 정착돼야 유라시아 대륙도 비로소 완성체로 평화 공동 번영 무대로 탈바꿈하게 될 것"이라며 "한반도가 새 실험무대가 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
이날 이 장관은 현 정세에 대해 "북으로 인해 남북미 관계가 파국으로 치닫거나 한반도 정세가 크게 격화되는 것을 우려했던 불확실성은 조금 완화됐고, 반대로 대화 가능성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할 필요가 있겠다"고 했다.
또 "조건 없는 대화가 재개된다면 싱가포르 선언과 판문점 합의 등 지난 남북미 합의를 토대로 한반도 문제 해결을 향해서 보다 실질적이고 합리적인 과정으로 속도감 있게 접근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아울러 "올해 연말과 내년 초에 이르는 몇 달 시간이 한반도 정세의 장기적 흐름을 좌우할 매우 중요한 시점이 될 것"이라며 "대화, 협력 가능성을 키워 나가고 갈등과 대결 여지는 축소시키면서 한반도 평화 정세 모멘텀을 살리기 위해 집중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장관은 종전선언 추진, 한반도 생명·안전공동체 실천, 접경 일대 평화 공고화 및 확대 등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한반도 비핵화, 평화 체제 구축, 남북 관계 발전이란 세 축을 동시적, 병행적으로 진전시키면서 남북 평화공존과 공동번영을 달성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우선 종전선언을 통한 비핵화 협상 촉진을 언급하고 "종전선언은 평화체제를 향한 입구로서 당장 큰 비용을 소모하지도 않고 급격한 군사적 현상 변동 없이, 어떤 법·제도적 현상 변동 없이도 평화를 향한 신뢰를 형성하고 대화를 시작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 합리적 접근"이라고 밝혔다.
이어 "핵을 포함해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조성할 명분과 동기도 현저하게 약화시키게 될 것이며, DMZ를 포함한 접경 일대에서 평화적 위상과 경제 발전 여건이 이전과 확연히 달라지는 조건을 만들게 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나아가 "종전선언은 대북 적대시 정책 철회를 주장해 왔던 북측 입장에서도 유의미한 해법을 향해 나아가는 좋은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한미 간 종전선언 협의가 막바지에 접어든 만큼 조속한 성과가 도출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했다.
이 장관은 포괄적 인도주의 협력을 통한 한반도 생명·안전공동체 실천도 강조했다. 한반도는 하나의 기후·환경 생태권, 공동생활권으로 연결돼 있어 경계 없이 협력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는 "북측도 올해 7월 유엔에 자발적 국가보고서를 제출하는 등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관심과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며 "남북 뿐 아니라 국제사회와 협력할 부분도 많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아울러 "우리는 이를 포함한 어떤 의제에 대해서도 북측과 언제 어디서든, 대면이든 영상이든 형식에 구애됨 없이 대화하고 협력할 의지가 분명히 있다"며 "한마디로 남북 대화와 협력 재개를 위한 모든 준비가 돼 있다는 점을 거듭 확인해 드린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남북 협력을 통해 디지털·그린·휴먼 뉴딜을 확장하는 '평화뉴딜'을 부각하면서 "이를 통해 평화경제를 구체화하고 한반도 차원의 발전 전략과 성장 동력을 새롭게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바라봤다.
또 "한반도에 평화가 확고히 정착돼 남북 주민들이 자유롭게 왕래하면서 경제적 상호 의존도를 높여 경제 공동체를 이루는 단계까지 발전하게 된다면, 불가역적 상호의존 협력 관계를 확립해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뉴시스>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