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침대 외 방사능 제품 또 있어”…소비자 우려 확산

방사능 방출 물질 ‘모나자이트’ 대량 구매 업체 3곳 확인

문혜현 기자 | 기사입력 2018/05/23 [17:50]

“대진침대 외 방사능 제품 또 있어”…소비자 우려 확산

방사능 방출 물질 ‘모나자이트’ 대량 구매 업체 3곳 확인

문혜현 기자 | 입력 : 2018/05/23 [17:50]

‘방사능 침대’로 논란이 된 대진침대 속 라돈이라는 물질은 ‘모나자이트’라는 희토류에서 방출된다. 모나자이트는 몸에 좋다고 알려진 음이온을 뿜어내는 물질로 매트리스·온열매트(돌침대)와 같은 생활용품 전반에 사용되고 있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조사에 따르면 국내 모나자이트 제조업체로부터 대진침대보다 더 많은 원료를 수입한 업체가 있는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들의 우려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편집자주>


 

 

▲ 지난 22일 논란이 된 대진침대 제조사보다 방사능 물질인 '라돈'을 뿜어내는 모나자이트라는 물질을 더 많이 수입한 업체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우려가 커지고 있다.     © 무료 이미지 사이트 pixabay

 

폐암을 유발하는 방사능 물질인 ‘라돈’을 방출하는 모나자이트(희토류)를 대진침대 매트리스 제조사보다 더 많이 구매한 업체가 국내에 3곳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논란이 된 대진침대에선 생산제품 26종 중 24종에 모나자이트를 사용해 6만1406개의 침대가 연간 내부 방사능 피폭선량 기준을 최고 9.3배 초과했다.

 

지난 22일 권칠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원자력안전위원회(이하 원안위)를 통해 입수한 ‘2013년 1월~2018년 4월 A사 모나자이트 국내 판매 현황’에 따르면 A사는 2013년 3265kg, 2014년 9959kg,  2015년 9292.5kg, 2016년 7222kg, 2017년 6359kg, 2018년 4560kg의 모나자이트를 판매했다. 

 

현재 국내에서 모나자이트를 수입해 판매하는 업체는 A사 1곳으로 4년4개월 간 전체 판매량은 66개 업체를 상대로 총 4만657.5kg에 달한다. 주목할 점은 A사로부터 대진침대 매트리스 제조사보다 더 많은 양의 모나자이트를 사들인 업체가 3곳 더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으로 ㄱ사는 2014~2018년 1만200kg의 모나자이트를 구매했다. 대진침대 매트리스 제조사가 2013~2016년 사들인 모나자이트 총량(2960kg)보다 4배 많은 양이다. 친환경 기업으로 자사를 홍보 중인 ㄱ사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물·공기·헬스·뷰티 분야에 음이온·향균제 등 바이오세라믹 소재를 생산·판매한느 회사’라고 소개하면서 팔찌와 세탁볼 등을 판매하고 있다. 

 

또 ㄴ사는 2013~2015년 해마다 540~2600kg씩 총 4180kg의 모나자이트를, ㄷ사는 2013~2017년 총 3720kg의 모나자이트를 각각 A사로부터 사들였다. 그 밖에 대진침대 매트리스 제조사보다 구매량은 적지만 연도에 따라 수백~1000kg씩 모나자이트를 사들인 업체가 추가로 18곳 더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러나 지금까지 관계당국이 제대로 수급 현황을 관리하지 않아 상황에 따라서는 더 많은 업체가 모나자이트를 사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현행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에 따르면 가공제품에 의한 일반인의 피폭방사선량 기준은 연간 1mSv를 초과하지 않도록 규정돼 있다. 앞서 원안위 조사 결과 대진침대에서 판매했던 7개 모델의 매트리스 속커버와 스펀지에 포함된 음이온 파우더(희토류)에서 방사성 물질이 나왔다. 

 

이 음이온 파우더의 원료는 천연 방사성핵종인 우라늄과 토륨이 함유된 모나자이트로 우라늄과 토륨이 붕괴하면 각각 라돈과 토론(라돈의 동위원소)이 생성돼 방사능 피폭이 발생한다.   

 

권 의원은 “원안위는 모나자이트 구매 업체들에 대한 신속한 전수조사와 정보공개를 통해 추가 피해를 방지해야 한다”라며 “정부는 국민의 생활안전이 무엇보다 최우선순위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 의원실 관계자는 <주간현대>와의 통화에서 “국회 산자위(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에 속한 권 의원이 이번 ‘라돈(방사능) 침대’ 사건을 계기로 알려진 모나자이트라는 물질을 정확히 알기 위한 목적으로 원안위에 자료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관계자에 따르면 아직까지 원안위의 모나자이트 관리체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으며 철저한 전수조사를 통해 어떤 회사가 어느 제품에 모나자이트를 사용해왔는지 정확히 밝힐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는 “모나자이트 사용 제품의 유통경로가 어떤지 알아야 국민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면서 “원안위에 지속적으로 관련 자료를 요청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서는 지난 21일 광화문 원안위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향수 등 음이온 발생 제품 등 방사능 발생 우려가 큰 생활용품에 대한 전면조사 및 대응책을 마련하라”며 “사업자에 의한 적극적인 피해보상과 이를 이행토록 하는 소비자 당국의 책임있는 역할을 수행하라”고 촉구한 바 있다. 

 

‘방사능 제품에 의한 피폭 논란’ 확산에 따라 정치권·소비자 단체의 요구가 높아지는 만큼 앞으로 원안위의 조사 결과와 대응책이 주목될 것으로 보인다.    

 

penfree@hanmail.net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