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들, 잇단 가스사고 원인제공!

각 지자체 허술한 관리 실태에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에게..

이성현 기자 | 기사입력 2013/03/06 [17:07]

지자체들, 잇단 가스사고 원인제공!

각 지자체 허술한 관리 실태에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에게..

이성현 기자 | 입력 : 2013/03/06 [17:07]


6개월 사이 경북의 산업단지 내에서만 4회의 가스누출사고가 일어났다. 단순 가스도 아닌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성 물질이다. 게다가 한 번, 두 번도 아닌 네 번이나 6개월이라는 단기간에 일어났다.
 
지난 해 일어난 ㈜휴브글로벌 불산 누출 사태는 사망자까지 생긴 대형 사고였다. 그 이후 일어난 사고는 규모면에서는 불산 사고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유독성 가스라는 점에서 불안은 불산사고에 못지않았다.
 
정점은 5일 터진 구미케미칼 염소가스 누출 사고였다. 참았던 분통들이 구미 전역에서 봄볕 새싹마냥 일어나기 시작했다. 구미 전역에 흩어져 있는 유독성 화학물질을 다루는 공장이 190여개가 넘는 다는 새롭지 않은 소식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불안감은 극도에 달하기 시작했다. 이제는 4공단에서만 일어나는 것도 아니다. 구미 전 지역이 유독성 물질로 불안하게 됐다.
 
사고가 일어난 이날 아침 공교롭게도 경북도는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소가 많은 지역의 7개 시·군(포항, 경주, 김천, 구미, 영천, 경산, 칠곡) 부단체장을 소집,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를 위한 부시장·부군수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김관용 도지사의 특별지시였다. 이날 회의에서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사고대책과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들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휴브글로벌의 불산 누출사고 이후 경북도는 2차례에 걸쳐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에 대한 특별 지도 및 점검을 실시했다. 유독물 관리자의 대응능력 향상을 위한 순회교육도 실시됐다. 그러나 그뿐이었다. 독극물 관리자에 대한 교육, 사업장에 대한 지도․점검 및 유관기관간의 공조체계 등을 강화하겠다고 나름의 복안을 내놓았지만, 5일 사고에서 보듯 공염불에 지나지 않았다. 나아지거나 특별히 개선된 점도 주민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대구지방환경청(청장 심무경. 이하 환경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환경청은 최근 잇단 화학사고로 취약성이 드러난 구미산단을 대상으로 시설 노후화 정도 및 유독물 취급실태 등에 대한 일제 점검을 실시하겠다고 6일 급히 발표했다. 일만 터지면 의례 하는 절차려니 생각하다가도 이런 행태에 주민들은 짜증만 한 가득이다.
 
구미산단은 유독물 취급시설 안전관리 실태에 대한 점검 필요성이 어느 지역보다 높은 지역이라고 환경청 자체에서도 분류를 해 놓고 있다. 그런데도 이제까지 환경청은 이런 실태 파악은 물론, 그에 따른 점검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 사고는 기계가 노후화되었거나, 일을 시작한 지 100일밖에 되지 않은 신생 업체서도 일어났다. 이제야 대구지방환경청은 구미시 등 유관기관과 함께 유독물 취급 시설․물질․공정 등의 사고 위험성과 예방․대응 역량, 관련 법령 준수 여부 등에 대한 집중 점검을 하겠다고 난리다.
 
불산 사고가 일어났던 당시에 서두르기만 했어도 2차,3차,4차 사고는 어쩌면 없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벌써 이번 사고로 진찰을 받은 주민이 2백여 명이 넘었다. 매번 이렇게 사고가 날 때마다 주민들은 불안해하며 검사를 받아야 하고 그것이 고작이다. 믿을 수 있는 행정과 관리를 기대하기도 힘들다고 주민들이 푸념하는 것도 이해가 간다.
 
한번도 아닌 4회씩이나 도심에서 일어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떻게 가능한 일인지 무엇보다 궁금하다. 어찌 보면 로또복권 당첨보다도 훨씬 어려워 보이지만, 실제 그 같은 일이 경북지역에서 심심찮게 일어나고 있다.
 
그럼 이 사고는 누가 책임져야 할까. 기업의 부주의니까 당연 기업 책임이라고 하겠지만, 진자 책임을 져야 할 사람들은 관리 주체인 지자체와 기관들의 부실 관리가 가장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하겠다. 당장 휴브글로벌 사태가 일어났을때만 해도 경북도는 더 이상의 이 같은 사고는 없을 것같이 떠들어대며 대책을 마련하는 듯 보였다. 실제 지난 해 연말 경북도는 관내 497개 업체에 대한 유독불질 관리 실태를 점검하고 이 가운데 관리가 부실한 업체를 적발하기도 했다.
 
이들 지역의 실질적인 관리 주체인 구미시는 경북도보다도 더 요란했다. 그러나 이 역시 그 때뿐이었다는 게 이번 사고를 통해 여실히 증명됐다. 무엇보다 적발 후에도 이런 사고가 연이어 터지는 상황을 보며 실제 경북도와 구미시가 내놓은 대안이라는 것이 무엇이 있었는지 되묻지 않을 수 없다.
 
대구지방환경청 역시 자유로울 수 없어 보인다. 환경 관련사항이라면 지자체보다도 먼저 관련 대책을 마련하고, 방지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실천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그렇듯 사고가 일어난 뒤 뒷북만 쳐대는 꼴이다. 이러다가는 경북도민 얼마가 유독물질로 생명을 잃거나 후유증에 시달릴지 알 수 없다.
 
지역 야당 정치권의 관리 부실 책임론 목소리도 주민들 입장에선 크게 와 닿지는 않지만 이 같은 상황이라면 관리 주체들의 무책임한 행동은 비난 받아 마땅해보인다.
 
대구시가 지하철 사고와 되지도 않는 국책사업들을 벌이며 국비를 낭비해 온갖 오명을 뒤집어 쓸 때, 경북도는 관리가 허술한 틈을 탄 유독성 가스의 연이은 사고로 청정 ‘PRIDE 경북’의 이미지를 훼손하고 있다. 두 지역 모두 천재가 아닌 인재로 인한 사고라는 점은 주민의 행복과 안전을 담보해야 하는 지자체와 지자체장의 역할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시도민의 이들 단체장 및 기관장에 대한 문책은 당연하다 하겠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포토뉴스
3월 둘째주 주간현대 1244호 헤드라인 뉴스
1/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광고
광고